난소암: 병태생리, 증상, 원인, 위험요인, 진단, 치료 방법

정의 및 병태생리

난소암

난소암은 여성 생식과 호르몬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난소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이다. 암이 발생하는 조직에 따라 크게 상피성 난소암, 생식세포종양, 그리고 성삭기질 종양으로 구분된다. 난소암의 90% 이상은 난소 표면의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상피성 난소암이다.

난소생식세포종양

난소생식세포종양이란 난소의 난자를 만드는 세포(원시생식세포)에서 유래하는 종양이다. 태아기에 난소가 형성될 때 난황주머니의 꼬리 끝으로부터 몸의 중앙선을 따라 난소가 생길 예정인 배측 장간막으로 원시생식세포가 이동하기 때문에 종양의 발생 장소가 다양하다. 유아기의 호발부위는 천미골 부위이며, 소아기에는 천미골과 골반, 종격동, 후복막에서 발생하며, 사춘기 이후에는 대부분 난소에서 발생한다.

악성도에 따라서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으로 나뉘며, 다른 종앙과 비교하여 생물학적, 병리학적, 임상적인 소견이 다양한 것이 특징이다. 악성 난소생식세포종양은 특징적으로 양쪽의 난소 중 한쪽에만 생기는 경우가 많다. 또한, 생식세포에서 유래된 것이기 때문에 주로 생식기의 발육이 활발한 젊은 연령층이나 가임연령층에서 많이 나타난다. 악성이라도 항암화학요법에 예후가 좋은 편이다.

난황낭종양 yolk sac tumor

난황낭 종양은 악성 생식세포종양으로 내배엽동 종양(Endodermal Sinus tumor)이라고도 한다. 평균 발생 나이는 16~18세이며, 1/3은 초경 전에 발생한다. 특이적으로 알파태아단백(α-fetoprotein, AFP)을 분비하여 이것이 종양 표식자가 된다. 소아에서는 일반적으로 예후가 좋으며 종양 절제 후 특별한 치료를 요하지 않지만, 성인은 태생기암과 같은 치료와 관리가 필요해진다.

증상

초기에는 대부분 무증상이다. 상대적으로 느리게 진행하는 상피성 난소암과는 달리 악성 난소생식세포종양은 빠르게 증식하여 출혈, 괴사, 난소의 피막 팽창 등과 동반된 갑작스런 골반통을 나타낸다. 환자의 약 2/3에서 복부 또는 골반 내에 종양이 촉지되며 하복통이 있다. 빠르게 성장하는 골반 종양는 방광이나 직장을 압박하여 빈뇨, 변비 등을 나타내기도 하며, 초경 시기에는 월경 불순을 초래하기도 한다. 그 외 자궁 부속기의 염전이나 파열과 동반된 급성 증상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이런 증상은 급성 충수염과 자주 혼동된다. 더 진행된 경우 복수가 동반되어 복부 팽만이 나타난다.

원인

발병원인은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위험요인

  • 가족 중에 난소암 환자가 있는 경우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 난소암 유전자(BRCA) 검사에서 양성일 경우 음성인 경우보다 난소암에 걸릴 확률이 10배 이상 높아진다. 그러나 95% 이상 가족력이 없는 환자에서 발생한다.
  • 본인이나 가족이 유방암, 자궁 내막암, 직장암 등의 과거 병력이 있는 경우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 유방암이 생기면 난소암 발병률이 2배 높아지고, 난소암이 있으면 유방암 발병률이 3~4배 높아진다.
  • 배란 횟수가 적을수록 발병 위험이 낮아진다. 임신은 난소암 발생을 방지하는 경향이 있다. 출산 후 수유를 하는 경우는 배란을 억제하여 월경을 지연시키기 때문에 발병 위험이 감소한다. 또한 먹는 피임약을 복용하는 경우 피임약이 배란을 억제하기 때문에 난소암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 고지방, 고단백 식품을 섭취하는 식습관, 비만, 석면과 활석 등 환경적 유발 물질에 노출되면 난소암에 걸릴 위험은 높아진다.

 

진단/ 검사

난소암은 초기 증상이 미미하여 약 60% 정도가 암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서 병원에 방문하게 되므로,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 것이 조기진단에 도움이 된다. 난소생식세포 종양의 경우 효과적인 조기검진 방법이 현재까지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의사는 환자의 나이, 현 병력 및 과거력, 가족력, 초음파 검사 및 혈액 검사, 내진 등 모든 자료를 종합하여 암이 의심되면 컴퓨터 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법(MRI) 등을 시행한 뒤, 수술로서 종양을 제거하고 조직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양성 또는 악성 종양을 확진한다.

난소암 검사 종류

난소암 치료

수술

병변의 진단 및 제거를 위해 일차적으로 시행한다. 일반적으로 초경 전 2cm 이상, 폐경 전 8cm 이상의 난소종양은 수술이 필요하다. 수술은 보통 자궁과 양쪽 난소를 모두 제거하고 골반 및 대동맥 주위 림프절과 장을 덮고 있는 대장, 맹장 등을 절제하며, 대장, 소장, 비장, 간, 횡격막 등에 종양이 전이된 부분이 있으면 가능한 한 모두 절제해야 한다. 절제술을 시행한 뒤 남아있는 종양이 1cm 이하인 경우에는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의 예후가 좋다.

방사선 치료

몸 밖에서 병변 부위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외조사의 방법으로 암세포를 죽여서 종양을 치료한다. 난소생식세포종양 중에서 미분화 세포종은 방사선치료에 반응이 좋으며, 전이가 있는 경우에도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생식능력을 상실하게 되는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일차적 치료로는 선택되지 않는다.

항암화학요법

항암제는 수술을 통해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 암 세포를 죽이는 수단으로 사용하며 주로 정맥 주사제를 사용한다. 난소생식세포종양 치료에서는 주로 여러 가지 항암제의 조합으로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치료효과를 극대화하는 복합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다. 정상세포의 회복을 위하여 평균 3주 간격으로 6~ 9회 정도 반복해서 투여한다. 회복 정도 및 약물 효과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 중에 종양표지물질이나 영상검사를 통하여 치료효과를 판단한다.

  • BEP(블레오마이신 bleomycin + 에토포시드 etoposide + 시스플라틴 cisplatin)
  • VAC(빈크리스틴 vincristine + 악티노마이신D actinomycin D + 싸이톡산 cytoxan)
  • VBP(빈블라스틴 vinblastine + 블레오마이신 bleomycin + 시스플라틴 cisplatin)

 

경과/합병증

암이 전이되지 않은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히 치료하면 완치율이 90%로 높은 편이지만, 대부분 암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에 발견되기 때문에 수술로 종양을 최대한 제거하고, 항암화학요법을 진행하게 된다. 대부분 항암제에 대한 반응이 좋아서 70~80%에서 종양이 사라지지만 상당수가 1~2년 내에 재발을 경험하게 된다. 암이 재발하게 되면 항암제에 내성을 보이게 되어 완치율은 매우 낮고, 5년 생존율은 30~40%이다.

수술에 의한 합병증과 항암화학요법에 의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침습 또는 전이된 장기에 따라 합병증의 양상이 달라진다. 항암제는 암 세포뿐만 아니라 정상 세포에도 작용하기 때문에 구역질과 구토, 식욕저하, 탈모, 손발 저림, 백혈구 및 혈소판의 감소, 빈혈 등의 부작용을 유발한다.

 

난소상피암 더 알아보기

임신중독증이란? : 원인, 위험요인, 증상, 예방법, 자가진단

요로감염: 병태생리, 증상, 치료방법, 자가간호

Leave a Comment